광고와 홍보의 차이
우선 영어 단어를 통해 의미를 분석해 보자면, 광고=advertisement, 홍보=Public Relations라고 한다.
광고=Advertisement
ad : 방향으로 vert : 방향 변경 ise : 한다 ment : 일
사람의 생각과 행동을 바꾸는 것, 사람에게 널리 알려지도록 한다.
홍보=Public Relations
Public Relations(Public Relations)란 조직과 그 조직을 둘러싼 인간(개인·집단) 과의 바람직한 관계를 창출하기 위한 사고방식과 행동의 모습이다. 19세기 말부터 20세기에 걸쳐 미국에서 발전해, 일본에는 제2차 세계대전 후인 1946년 이후에 미국으로부터 도입되었다. 기업·관공청·단체 외, 모든 조직의 운영에 빠뜨릴 수 없는 생각이라고 할 수 있다. Public Relations에 대해서, 미국에서 교과서로서 정평이 있는 「체계 퍼블릭 릴레이션즈」에서는, 다음과 같이 정의되고 있다.
"Public Relations는 조직과 그 생존을 좌우하는 퍼블릭 사이에 상호 이익을 가져다주는 관계를 구축하고 유지하는 관리 기능이다."
조직을 둘러싼 이해관계자(고객, 거래처, 지자체, 사원 등의 이해관계자)와의 “좋은 관계”를 구축하기 위한 대화가 Public Relations, 홍보의 목적이다.
즉, 광고란 사람들의 행동과 생각을 바꾸기 위해 많은 사람들에게 알려지도록 하는 것이다.
홍보란 이해관계자와 좋은 신뢰관계를 만들기 위한 커뮤니케이션이다.
둘 다 “넓게 알린다”라는 점에서는 똑같아 보일 수 있지만 유료의 매체를 이용하고 있는지 여부로 차별화할 수 있다.
광고의 장점과 단점
전하는 내용에 대해서는, 광고주인 기업에 결정권이 있으므로, 사전에 어떠한 메시지를 광고에 게재할까는 컨트롤이 가능하다.
전하고 싶은 메시지도 스트레이트하고 간결하게 전할 수 있지만, 어쩌면 광고 싫어하는 분위기인 요즘은 광고를 밀어붙이면 마이너스 이미지가 될 수 있다. 불특정 다수의 사람에게 직접적인 어프로치를 할 수 있다고 하는 장점은 크지만, 수많은 광고가 존재하는 가운데 어떻게 인상을 남길지 고민이 필요하다.
광고 예) 웹 광고, 동영상 광고, 웹 광고, TV 광고, 라디오 광고, 신문 광고, 잡지 광고, 교통 광고, 야외 광고, DM, 캠페인 등
홍보의 장점과 단점
광고 비용을 들이지 않고 발신할 수 있는 것이 홍보의 장점이다.
기업 측은 게재 매체(TV, 잡지, 신문, 웹 등의 매체)에 거론할 수 있는 가치 있는 매력적인 정보를 발신함으로써 게재 매체에 광고비를 들이지 않고 기업 정보를 게재할 수 있다.
정보를 게재할지는 게재 매체 측이 판단을 하기 때문에, 기업 측은 게재 여부의 컨트롤은 할 수 없다. 그러나, 제3자인 게재 매체 측의 의지에 의해 다루어진 기사는, 객관성이 늘어나, 독자로부터 높은 신뢰·신용을 얻을 수 있다. 목표로 하는 독자에 대한 접근은 불가능하지만, 간접적으로 넓은 인지를 얻을 수 있다.
홍보 활동의 예) 기자 발표나 보도자료, 문의나 취재 대응, 자사 이벤트 등의 실시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