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광고(Search Ad/SA)란 네이버, 다음, 구글 등의 검색창에 검색어를 입력하면 검색 결과에 관련 업체의 메시지가 노출되는 광고이다. 예를 들어 네이버에 '키보드'를 검색했을 때 파워링크로 뜬다면 그것은 '키보드' 관련 광고인 것이다.
검색광고의 특징
검색광고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소비자의 관심과 관련성이 높다. 대신 정보성 키워드, 예를 들어 날씨는 검색광고로 인정하지 않는다. 구매와 연관성이 없기 때문이다. 매출당 광고비 기준 적은 비용으로 신규 소비자를 확보하고, 중소상공인을 중심으로 활용도가 증가해왔으나 성장률은 둔화하는 추세이다. 마지막으로 광고주는 검색어(키워드)에 대해 경매에 참여한다. 이때 검색어 트래픽 정보를 기반으로 예상 클릭 수를 산출하고, 정확한 매칭 또는 넓은 매칭을 사용한다. 사람이 늘 정확한 키워드를 이용해 검색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넓은 매칭을 할 때도 있다.
네이버는 최대 금액을 제시한 광고주가 두 번째로 높게 제시된 금액을 지불하고 Google의 겨우 최대 금액을 제시한 광고주가 낙찰되는 등 사이트별로 다양한 결제방법이 있다.
*검색광고에 유용한 사이트
Datalab.naver.com에서 검색량 확인을 통해 소비자의 관심/수요 추세를 확인할 수 있고,
https://manage.searchad.naver.com/ (네이버 광고주 시스템)에서 연관 키워드와 예상 성과를 확인할 수 있다
물론 둘 다 네이버 사이트이기 때문에 한국 기준이다.
검색광고 집행 전략
검색광고 집행 전략은 대표 키워드 활용과 세부 키워드 활용 두 가지로 나뉜다.
대표 키워드는 내 사이트를 대표하는 단어(메인 상품)를 키워드로 사용한다. 검색 사용자가 보편적으로 검색하는 단어일 것이고 평균 클릭 비용이 높은 것이 단점이다.
세부 키워드는 검색 사용자가 원하는 수식어가 포함된 상품명을 키워드로 사용하는 것으로, 내 사이트에 포함된 모든 콘텐츠라 볼 수 있다. 클릭률과 구매 전환율이 높다.
대표 키워드 7개를 활용하는 것보다 전략적으로 많은 키워드를 활용하는 것이 비용 효율적일 수 있다.
검색 광고의 장단점
검색 광고는 소비자의 관심사를 기반으로 광고 집행이 가능하다는 점, 니즈 발생 시점을 타깃할 수 있다는 점이 장점이다. 그러나 검색 플랫폼 별로, 키워드별 최적화를 위한 집행 전략이 요구된다. 경쟁 업체 등의 부정클릭으로 인해 광고 비용이 많이 나올 수 있으며, 광고효과가 높은 키워드를 사용할수록 광고 비용이 증가한다.
'마케팅 Market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SNS 마케팅이 주목받고 있는 이유 (0) | 2023.03.24 |
---|---|
동영상 광고의 의미와 장단점, 결제 형태 (0) | 2023.03.24 |
프로그래매틱 광고의 의미와 집행 과정, 성장 배경 (0) | 2023.03.24 |
배너 광고란? (0) | 2023.03.24 |
디지털 광고 관련 용어(광고 운영/효과 데이터) 정리 (0) | 2023.03.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