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영상 광고의 의미
동영상 광고란 광고 중 동영상 소재를 이용한 광고를 의미한다. 텔레비전 CM이나 옥외 광고, 전철 내에 흐르는 광고 등도 동영상 광고의 하나지만, 협의로의 동영상 광고는 주로 Web 상에서 보는 동영상 광고를 가리키는 경우가 많다. 웹 광고의 동영상 광고로 대표적인 것은 YouTube 콘텐츠의 시작과 사이에 흐르는 15초~30초 정도의 동영상 광고를 들 수 있다.
동영상 광고의 결제 형태
동영상 광고에는 크게 'CPV 과금', 'CPM 과금', 'CPC 과금'의 세 가지 과금 형태가 있다.
· CPV 과금
CPV(Cost Per View) 요금은 동영상 광고 시청 횟수에 따라 게재 비용이 청구되는 형식이다. 동영상 광고는 가장 일반적인 결제 형태로 광고 게재 기간에 동영상을 몇 번 시청했는지에 따라 지불하는 광고 요금이 결정된다.
이때 시청 횟수에 카운트되는 타이밍은 3초 시점, 5초 시점, 완전 시청 등이 있으며, 카운트 기준은 게재하는 미디어에 따라 다르다.
· CPM 과금
CPM(Cost Per Mille) 결제는 1,000회당 노출에 드는 비용의 평균을 계산하고 최종 노출 수에 따라 게재 비용이 청구되는 형식이다.
예를 들어 1,000회당 노출 수의 평균 비용이 300원, 동영상 광고 게재 기간 중 노출수가 10,000회 노출되었을 경우 최종 광고 게재 비용은 '10,000×300원=3,000,000원'이다. 또한 노출이란 '광고가 게재된 횟수'로, 한 명의 사용자에게 10회 광고가 게재된 경우에는 '10회 노출'이라는 계산 방법을 쓴다.
· CPC 과금
CPC(Cost Per Click) 요금은 게재된 동영상 광고를 한 번 클릭할 때마다 게재 비용이 청구되는 형식이다.
클릭수가 기준이 되는 CPC 과금은 광고 경유로 얼마나 많은 유저를 모을 수 있는지를 알기 쉽기 때문에, 운용형 광고 전반에서 주류가 되고 있는 과금 형태다.
동영상 광고의 장점과 단점
동영상 광고의 장점
동영상 광고를 사용하면 다른 웹 광고에서 사용할 수 없는 '소리'와 '움직임'을 결합하여 사용자에게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다른 텍스트 타입의 광고나 배너 광고에 비해 크리에이티브에 담을 수 있는 정보량이 많아 스토리성을 갖게 하기 쉬운 점이 메리트다. 유저의 청각이나 시각에 호소해, 스토리와 함께 상품·서비스의 정보를 전달되는 동영상 광고는 유저의 인상에 남기 쉬워, 브랜드 인지도나 구매 의욕의 향상에 효과적인 것이다.
동영상 광고의 단점
동영상 광고의 단점은 광고 소재 제작에 드는 비용이 다른 웹 광고보다 비용이 많이 든다는 것이다. 동영상 광고는 애니메이션이나 실사의 동영상을 제작·촬영해, 동영상에 음악이나 이펙트를 붙이는 작업에 가세해, 캡션을 삽입하는 등의 편집 작업이 필요하다. 따라서 제작비와 제작 시간이 다른 텍스트 유형의 광고나 배너 광고보다 크다. 또한 광고 소재를 구분하기가 어려우므로 앞으로 웹 광고를 시작하는 사업주가 처음으로 다루는 광고 형식으로는 난이도가 높을 수 있다.
'마케팅 Market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SNS 마케팅의 장단점 (0) | 2023.03.24 |
---|---|
SNS 마케팅이 주목받고 있는 이유 (0) | 2023.03.24 |
검색광고의 의미와 특징, 집행 전략, 장단점 (0) | 2023.03.24 |
프로그래매틱 광고의 의미와 집행 과정, 성장 배경 (0) | 2023.03.24 |
배너 광고란? (0) | 2023.03.24 |